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돈아끼는 꿀팁모음

2025년 7월부터 달라지는 국민연금 : 연봉별 증액액 총정리

by for YOLO 2025. 7. 26.

25년도 07월부터 국민연금의 납입액이 증가해서 7월 월급부터 지난 달 대비해서 줄어드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국민연금이 왜 증가했는지 얼마나 증가해서 영향을 받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납입금액 인상 안내

7월부터 국민연금의 보험료 산정 기준인 ‘기준소득월액’ 구간이 평균 3.3% 인상되었습니다. 상한액은 월 6,170,000원에서 6,370,000원으로, 하한액은 390,000원에서 400,000원으로 조정되었으며, 보험료율(9%)과 사용자·근로자 부담 비율(각각 4.5%)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인상 배경

  • ‘기준소득월액’은 3년 마다 조정되며, 가입자 소득 현실화를 위해 평균 3.3% 인상되었습니다.
  • 보험료율은 기존 9%로 유지되며, 사용자와 근로자가 각각 4.5%씩 부담합니다.

인상 전·후 주요 수치

2025년 7월부터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의 상한액과 하한액이 인상되어, 이에 따라 일부 소득 구간의 국민연금 납입금액도 함께 증가했습니다. 주요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한액: 617만원 → 637만원
      → 납입금액: 555,300원 → 573,300원 (18,000원 증가, 전체 부담 기준)
  • 하한액: 39만원 → 40만원
      → 납입금액: 35,100원 → 36,000원 (900원 증가)
반응형

국민연금 보험료율(9%)은 변동은 없고 이번 인상은 기준소득월액의 상·하한액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직장인은 인상분의 절반(최대 9,000원)을 본인 부담(회사 절반), 지역가입자는 전액 본인 부담하게 됩니다.

구간 인상 전 기준소득월액 인상 후 기준소득월액 증감액
최저 구간 390,000원 400,000원 +10,000원
최고 구간 6,170,000원 6,370,000원 +200,000원
전체 평균 +3.3%

 


연봉별 월납입액 변경 예시

소득 금액에 따라 인상되는 금액을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연봉(원) 월급여(원) 인상 전 납입액 인상 후 납입액 증감(원) 전 근로자 부담 후 근로자 부담 증감(원)
24,000,000 2,000,000 180,000 185,940 +5,940 90,000 92,970 +2,970
36,000,000 3,000,000 270,000 278,910 +8,910 135,000 139,455 +4,455
48,000,000 4,000,000 360,000 371,880 +11,880 180,000 185,940 +5,940
60,000,000 5,000,000 450,000 464,850 +14,850 225,000 232,425 +7,425
72,000,000 6,000,000 540,000 557,820 +17,820 270,000 278,910 +8,910

일반 근로소득을 버시는 직장인 분들은 이번 7월부터 후 근로자 부담 열을 참고하시면 되고 일반 근로소득자가 아닌 지역가입자의 경우 인상 후 납입액을 보시면 됩니다.

계산식
인상 전 총 납입액 = 월급여 × 9%
인상 후 총 납입액 = (월급여 × 103.3%) × 9%
근로자 부담액 = 총보험료 × 50%

 


마무리 및 추가 정보

이번 인상은 급여수준별 부담액이 소폭 늘어나는 수준이지만, 향후 연금 재정 안정성과 가입자 기본 노후 보장을 위해 주기적인 조정이 필요한 사안입니다. 다음 인상 시점은 3년 후이며, 그때는 보험료율 자체 조정 여부도 검토될 예정입니다.

반응형